리스트에서 사용하는 함수 및 사용방법
list = [a, b, c] / a,b,c 값이 들어있는 리스트가 있다고 할 때.
print(list.index("리스트 내 위치를 찾고자 하는 값 입력"))
list.append("추가할 값 입력")
list.insert(원하는 위치, "추가할 값 입력")
list.pop() : 리스트의 제일 끝에 있는 값을 선택해 지움
list.count("개수를 세고 싶은 값 입력")
list.sort() : 차례대로 정렬해준다.
list.reverse() : 리스트의 위치 순서를 뒤집는다.
list.clear() : 리스트 초기화. 빈 리스트를 만들어버린다. []
list.extend(합체할 리스트 이름 : 합체할 리스트가 뒤에 위치하게 됨)
리스트를 배우기 전에는 변수를 하나씩 만들어 값을 입력해 넣었다.
예)
account1 = 1
account2 = 2
account3 = 3
리스트는 집합의 개념으로 사용함으로써 비슷한 것을 하나로 묶을 수 있다.
예)
account = [1, 2, 3]
리스트를 활용하는 예제
지하철 1칸마다 연예인이 타고 있다. "박명수"는 몇 번째 칸에 타고 있는가?
subway = ["유재석", "조세호", "박명수"]
print(subway.index("박명수"))
출력 결과값은 2 이다.
index는 색인 기능으로 몇 번째 있는지 찾아주는 기능의 함수라서 2번 째에 있다고 찾아주었다.
(우리는 1,2,3으로 숫자를 세지만, 컴퓨터는 0, 1, 2, 3, 4 ... 순서로 숫자를 세므로 2번째이다.)
하하가 다음 칸에 탔을 경우
subway.append("하하") 를 입력하고 print(subway)를 실행하면
결과값은 아래처럼 나오게 된다.(append는 항목을 추가해주는 함수이다.)
['유재석', '조세호', '박명수', '하하']
위 리스트에서 정형돈을 유재석 - 조세호 사이에 넣으려면
subway.insert(1, "정형돈") 을 입력하고 print(subway)를 실행하면
결과값은 아래처럼 나오게 된다.(insert는 내가 원하는 위치에 항목을 추가해주는 함수이다.)
['유재석', '정형돈', '조세호', '박명수', '하하']
한명씩 뒤에서부터 내린다고 하면
print(subway.pop()) 를 입력하고 print(subway)를 실행해본다.
결과 값은 아래와 같이 빠지는 사람의 이름이 출력되고(항상 리스트의 맨 뒤의 값) 남은 리스트가 출력된다.
하하
['유재석', '정형돈', '조세호', '박명수']
print(subway.pop())
print(subway)
print(subway.pop())
print(subway)
같은 명령을 2번 더 실행하면 조세호까지 빠지면서 2명만 남게된다.
조세호
['유재석', '정형돈']
리스트에서 중복된 값의 개수를 세어보려면,
아래코드 처럼 count를 함수를 이용해 출력하면 된다.
print(subway.count("유재석"))
리스트 안에 "유재석"이라는 이름이 몇 명인지 보여준다.
아래와 같은 리스트에서 정렬을 하고 싶다면,
num = [5, 2, 4, 3, 1]
숫자를 순서대로 정렬해주는 코드를 써보자.
num.sort()
print(num)
마음이 편해지는 [1, 2, 3, 4, 5] 가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리스트에서 순서를 거꾸로(정 반대로) 바꾸고 싶다면,
아래의 함수를 사용한다.
num.reverse()
print(num)
결과값은 [5, 4, 3, 2, 1]
리스트를 아예 초기화 (리스트 내용 모두 지우기) 하고 싶다면,
아래의 함수를 사용한다.
num.clear()
print(num)
결과값은 빈 리스트 []
*리스트는 다양한 자료형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!
ex)
num = [5, 4, 3, 2, 1]
mix = ["조세호", 20, True]
*다음과 같이 extend를 사용하면 리스트 합치기도 가능하다!
num.extend(mix)
print(num)
[5, 4, 3, 2, 1, '조세호', 20, True]
리스트의 값을 출력할 때 수정이 필요하거나 변경이 필요한 경우,
아래와 같이 수정 or 변경 할 수 있다.
ex) 학생번호가 1,2,3,4,5 로 시작되었는데, 올해부터는 101, 102, 103, 104, 105 순서로 시작된다고 할 떄
#기존 1,2,3,4,5 순서의 학생코드
students = [1,2,3,4,5]
#새롭게 변경되는 101, 102, 103 순서의 코드
students = [i+100 for i in students]
print(students)
기존 리스트는 [1, 2, 3, 4, 5]로 출력 되었지만
새롭게 변경한 코드를 실행하면 [101, 102, 103, 104, 105] 의 리스트가 나온다.
ex) 영문자로 된 학생의 이름. 문자열의 길이로 리스트를 수정한다고 할 때
<기존 영문자로 된 학생 리스트>
students = ["Iron man", "Thor", "I am groot"]
<문자열의 길이로 변경하는 리스트>
students = [len(i) for i in students]
print(students)
출력 결과 값은 [8, 4, 10]
ex) 영문자로 된 학생의 이름. 대문자로 리스트를 출력한다고 할 때
<기존 코드>
students = ["Iron man", "Thor", "I am groot"]
<모두 대문자로 바꿔 출력하고자 할 떄>
students = [i.upper() for i in students]
print(students)
출력 결과 값은 ['IRON MAN', 'THOR', 'I AM GROOT']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내 피셜, 프로그래밍 언어 파이썬이 인기 있는 이유 (0) | 2022.07.30 |
---|---|
파이썬 기초, 딕셔너리를 배워보자! (0) | 2022.07.30 |
파이썬 기초, 자료형이란? (숫자, 문자, 참&거짓, 변수, 주석) (0) | 2022.07.30 |
파이썬 기초, if 조건문 배우기. (0) | 2022.07.30 |
파이썬 기초, for 반복문 배우기! (0) | 2022.07.29 |
댓글